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세종과 소헌왕후의 영릉(英陵)
조선왕릉은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6월30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519년의 역사를 지닌 조선은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아
조상에 대한 존경과 승모(崇慕)를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긴 조선은 역대 왕과
왕비의 능을 엄격히 관리하여 42기 능 어느 하나도 훼손되거나 인멸되지 않고
모두 제자리에 완전하게 보존되었다는 것이 너무나 놀랍습니다.
조선은 27대의 왕이 통치했는데 제10대 연산군과 제15대 광해군은 왕능에서 포함되지 않습니다
42기의 능 가운데 북한 개성에 있는 제릉(태조 원비 신의왕후의 능),후릉(정종과 정안왕후)을
제외한 40기의 능이 남한에 자리잡고 있는데요 주로 서울,경기에 위치해 있습니다.
500년이 넘는 한 왕조의 무덤이 이처럼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것은 세계에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며 문화서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주에는 세종대왕의 영릉(映陵)과 조선 17대 효종와 인선왕후의 영릉(寧陵)이 있는데
지난해 11월에 경기도 여주에 위치한 세종대왕의 영릉(英陵)에 다녀왔습니다.
세종 영릉은 하나의 봉분 아래에 왕과 왕비 두 분의 현궁을 마련한 동봉이실의 합장릉으로
조선왕릉 최초의 합장릉이라고 합니다.
조선왕릉의 어떤 형식인지 쉽게 표현한 이미지를 볼까요
조선의 왕릉이 온전하게 보존될 수 있었던 것은 도굴하기 어려운 형식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위의 그림을 참고하면 조선 왕릉에는 봉분만 있는 게 아니라
그 주변에는 왕릉의 장엄함을 더하는 사람과 동물 조각상 16개가 능을 지키고 있습니다.
수호의 상징인 호랑이와 양 조각이 2쌍씩 8마리가 봉분을 둘러싸고 있고
그 아래 중계(中階)에는 문관을 조각한 문석인(文石人) 1쌍과 말 1쌍,
그 아래 하계(下階)에는 무관을 표현한 무석인(武石人) 1쌍과 말 1쌍이 있습니다.
정자각: 제례 때 제물을 진설하고 제례를 드리는 집
1745년 (영조21년)에 세워진 영릉비는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약력과
세종대왕릉 천장내력 등이 한자로 쓰여있습니다.
세종대왕의 영릉과 가까운 여주 신륵사는 세종대왕의 무덤인 영릉의 원찰입니다
원찰은 왕이나 왕비의 명복을 빌어주고, 왕릉을 관리하는 사찰을 말합니다.
참고로 신분에 따라 무덤의 이름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능은 추존왕이나 추존왕비를 포함하여 왕이나 왕비가 묻히는 무덤이라면
원은 세자나 세자빈이 묻히거나 왕의 친부모가 묻히는 무덤입니다.
묘는 능과 원을 제외한 일반 모든 사람들이 묻힌 무덤을 말합니다.
세종대왕 유적관리소를 찾아가면 세종의 영릉을 만날 수 있습니다.
유교 국가였던 조선은 조상의 얼을 이어 받는 것도 제사에서 시작하고 뿌리로 돌아가는 것도 제사로
끝냈는데 이 제사 문화의 중심에는 조선 왕릉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왕이 승하한 후부터 완성될 때까지 정연한 예법에 의하여 조성되고
엄격한 법식에 따라 제례를 행하였던 조선 왕릉은 조선의 혼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조선왕릉은 조선왕조의 세계관,종교관 및 자연관을 바탕으로 타 유교 문화권 왕릉들과
다른 형태를 띠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